정치인들이 뻔뻔한 것이야 어제오늘 일은 아니지만,

그래도 정도(度)가 있다.

상말로 빼도 박도 못하게 걸렸을 경우에는 최소한 사실관계는 인정하고 다른 변명을 하는 것이 상식이다.

증거가 뻔히 있는데 오리발을 내밀면 서로 싸우자는 것 밖에 안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정도껏을 모르는 사람이 사회 꼭대기에 올라앉으면서,

이런 최소한의 기본, 상식, 정도가 몽땅 사라졌다.

동영상이 있는데 바이든이 아니고 날리면이라고 우긴다거나,

명품쇼핑한 사진이 딱 찍혀서 외신에 보도가 되었는데 삐끼때문이라는 둥 안 샀다는 둥...

정말 저열하기 이를데 없다.

 

이러면 국민평균 수준도 내려간다.

아, 저렇게 해야 되는구나, 잘못해도 우기고 버티면 어떻게든 되는구나.

이게 뭐 단기적으로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눈 앞의 면피를 하려고 하는 것이니까, 당연한 일이다.

 

그런데 장기적으로 이런 풍조가 만연하면,

한국사회는 정글로 변한다.

상대를 도무지 믿을 수가 없고, 계약서를 써도 불리하면 안 썼다고 우길 것이다.

그럼 결국 한 손에 몽둥이를 들고 다른 손으로 악수할 수 밖에 없다.

이게 제대로 굴러가는 사회가 아니라는 건 두말하면 잔소리다.

 

신뢰비용이 증가하게 되는데, 무슨 소린고 하니,

서로가 신의성실의 원칙에 입각해 행동할 것이라는 가정이(계약서에 상투적으로 등장하는 문구다.)

서로가 단기적 이익에만 충실할 것이라는 가정으로 바뀌는 것이다.

죄수의 딜레마에서 서로가 서로를 못 믿게 되는 것과 유사하다.

그렇게 되면 서로 신뢰를 담보하기 위해 추가적인 장치가 필요해진다.

그만큼 신뢰비용(몽둥이값)이 발생하고 사회 전체의 이익은 감소한다.

 

뭐, 이미 늦었다. 소수가 저열하게 행동할 때는 그래도 자정작용이 있다.

그런데 이미 소수라고 하기엔 너무 많은 사람들이 그들을 따라 행동한다.

이것이 사회지도층의 힘이고, 소위 셀럽의 영향력인 것이다.

외눈박이 나라에는 양눈을 뜬 사람이 병신취급을 받는다.

 

 

'철학 > 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제는 한국인이다.  (2) 2023.10.31
지지율 콘크리트 30% 이유  (0) 2023.08.10
심리학비평_당신의 그림자가 울고 있다  (0) 2023.04.18
20대보수화 원인  (0) 2023.03.12
사이비종교에 대하여  (1) 2023.03.06

하염없이, 하염없다 어원

기타 2023. 6. 5. 21:28 Posted by 闖

사전적 의미는 아래와 같다.

['시름에 쌓여' 멍하니 이렇다 할 만한 아무 생각이 없이]

[자신의 뜻과는 상관없이 어떤 행동이나 심리상태가 계속되는 상태]

 

어원을 찾아봤더니 국립국어원도 잘 알 수가 없다고 한다.

 

그렇지만 한자로 비슷한 어원이 있다.

 

어찌 하(何)

생각 념(念)

 

하념>하염으로 추측되는데, 

여기서 하의 용법은 하세월(月)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하세월은 어느세월이라는 뜻으로 쓰이는데 주로 기한없이 긴 세월이라는 의미이다.

하념역시 기한없이 기나긴, 어떤 생각이 계속되는 것을 말한다고 본다.

 

 

만물유전 색즉시공

카테고리 없음 2023. 4. 29. 22:20 Posted by 闖

세상 만물은 변하기 마련이라, 그래서 색이 공이고 공이 색이라.

 

컴퓨터가 처음 나오고 디스크, 디스켓에 정보를 저장하기 시작했을 때

나는 이제 더 이상 종이에 무언가를 기록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다.

인터넷이 발달하고 웹상에 사진이나 영상을 손쉽게 업로드하면서

더 이상 사진앨범이나 비디오테이프에 연연하지 않게 되었다.

 

특히, 구글이 웹을 통일하면서 모든 것이 구글검색으로 찾을 수 있게되자,

아, 이제는 진짜로 내가 기억할 필요가 없어졌구나, 하고 생각했다.

 

그렇게 생각한지 근 10년이 흘렀다.

그리고 구글은 오래된 정보를 지우기 시작했다.

결국 디지털저장장치 역시 물리적 저장공간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 것이다.

종이에 기록해두었으면 더 많은 물리적 공간이 필요했겠지만,

그래도 소중한 기억은 인간의 일생은 충분히 버텨낼 수 있었을 것이다.

 

무엇이든 변하기 마련이라 소유하고 집착하는 것 역시 덧없는 일이지만

그래서 지금 이 순간이 변치 않고 영원하길 바라는 것 역시 인간이다.

 

곧 ai를 장착한 인간형 로봇이 인간을 대신할 것 같다.

구글검색이 처음 등장했을 때처럼, 인간보다 훨씬더 유능하고 유용할 것이 분명하다.

그리고 10년 쯤 지나면 과연 어떤 세상이 될까?

소년이 늙는 것이 빠를까, 로봇이 망가지는 것이 빠를까?